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철종(1813-1863) 조선의 제 25대 왕

    • 제작연도 연도미상
    • 표준영정 지정연도 1989년
    • 영정크기 205 x 108cm
    • 제작작가 석영 최광수 (1932-1990)
    • 제작방법 ·
    • 소장지 및 소장인 창덕궁
    인물소개
    재위 1849~1863, 초명은 원범(元範), 자는 도승(道升), 호는 대용재(大勇齋), 정조의 아우 은언군(恩彦君)의 손자로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의 셋째 아들이다. 당시 영조의 혈손으로 헌종과 원범 두 사람뿐이었다. 1849년 헌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왕후(純元王后 : 순조의 비, 金祖淳의 딸)의 명으로 정조의 손자 순조의 아들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때 나이 19세였으며 강화도에 살던 농사꾼이었다. 1844년(헌종 10) 형 회평군(懷平君) 명(明)의 옥사(獄事)로 가족과 함께 강화도에 유배되어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명을 받아 봉영의식(奉迎儀式)을 행한 뒤 덕완군(德完君)에 봉해지고, 창덕궁 희정당(熙政堂)에서 관례(冠禮)를 행한 뒤 인정전(仁政殿)에서 왕위에 즉위하였다. 농사꾼이 되어 정치를 할 수 없어서 처음에는 대왕대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1851년(철종 2) 대왕대비의 근친인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왕비로 맞았다. 그 뒤 김문근이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으로 국구(國舅)가 되어 정권을 장악하게 되니, 순조 때부터 시작된 안동김씨의 세도정치가 또 다시 계속된 것이다. 철종은 1852년부터 친정을 하였으나, 정치에 어둡고 안동김씨 일파의 전횡(專橫)으로 정치는 극도로 어지러워 삼정(三政 : 田政, 軍政, 還穀)의 문란이 더욱 심해져서 탐관오리가 날뛰고 백성들의 생활이 도탄에 빠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진주, 제주, 함흥 등지에서 민란이 일어났다. 이때 최제우(崔濟愚)가 동학(東學)을 창도하여 사창 운동을 전개 확산하자 이를 탄압, 교주 최제우를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속인다」는 죄목으로 잡아 처형하였다. 1863년 재위 14년, 33세로 죽었다. 박영효(朴泳孝)에게 출가한 옹주 하나가 있을 뿐 후사가 없었다. 능은 예릉(睿陵). [文獻] 憲宗, 哲宗實錄, 高宗實錄 等 (출처 : 전통문화포털)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