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전제 장군(1558-1597) 조선 중기의 무신

    • 제작연도 1984년
    • 영정크기 70X58cm
    • 제작작가 월전 장우성 (1912-2005)
    • 제작방법 비단에 채색
    • 소장지 및 소장인 ·
    인물소개
    경상도 초계군 도방리(지금의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하신리) 출신. 백제의 개국공신인 전섭(全攝)의 후손이고, 완산군(完山君, 시호는 충정(忠貞)) 전집(全潗)의 10대손이며, 완산 전씨 초계(草溪) 입향조인 수찬 전하민(全夏民)의 6대손이다. 아버지는 전경원(全慶遠) 또는 전덕원(全德遠)이다. 자는 시적(時適) 또는 시숙(時叔)이고, 호는 영수(英叟)이다. 조선왕조실록에는 全悌라고 표기되어 있다. 당숙인 탁계(濯溪) 전치원(全致遠)과 설학(雪壑) 이대기(李大期)를 사사하였다. 교생(校生)으로 1591년 별시 무과에 을과 30위로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 그해 5월 당숙 전치원(全致遠)과 재종형 전우(全雨), 서재종제 전문(全雯) 등과 함께 초계에서 조호장(調護將)으로 거병, 6월부터 9월까지 낙동강변, 황강, 성주, 창녕, 현풍 등지에서 왜군과 교전하여 전공을 세웠다.그 후 곽재우 휘하에 조전장(助戰將)으로 종군하였다. 1596년 3월에는 대구 팔공산에서 결사구국을 회맹하였다. 이후 1597년경에 경상도 영산현감으로 부임했다. 1597년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그해 7월 21일 영산현감으로 경상좌도방어사 곽재우의 휘하에서 조전장(助戰將)으로 화왕산성에 입성하여 성을 지켰다.[출처 필요] 12월 영산현감(靈山縣監)으로 권율의 휘하로 울산성 전투에 출전하여 종군하던 중 출신(出身) 1인, 군정(軍丁) 1명과 함께 처형당했다. (출처 : 위키백과)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