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이익(李瀷) 1681-1763 조선의 실학자

    • 제작연도 연도미상
    • 표준영정 지정연도 1996년
    • 영정크기 140 x 93cm
    • 제작작가 일초 손연칠 (1948-)
    • 제작방법 ·
    • 소장지 및 소장인 국립현대미술관
    인물소개
    호는 성호(星湖) 본관은 여주, 대사헌 하진(夏鎭)의 아들이다. 1705(숙종 31) 증광문과(增廣文科)를 보았으나 낙방하고 이듬해 형 잠(潛)이 당쟁으로 희생되자 벼슬을 단념하고 안산(安山) 첨성촌에 머물러 일생을 학문에 전심하여 유형원(柳馨遠)의 학풍을 계승하여 실학자의 중조(中祖)가 되었다. 1727년(영조 3) 학행으로 추천되어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1763년(영조 39) 노인직(老人職)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어 이해에 죽었다. 아버지가 남긴 많은 장서를 토대로 경전(經典) 정주학(程朱學)을 섭렵하고 이황(李滉)의 글을 탐독하였다. 사회현실은 역사적으로 고찰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실증적 비판적 태도로 학문에 접근해야 한다는 이론을 세우고 모든 학문은 실제 사회에 유용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쟁의 발생은 이해(利害)의 상반에서 오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제한된 일정한 직제에 비해 생업에 종사하지 않는 많은 관리의 등장이 필연적으로 당쟁을 조성하는 것이라 하여 양반도 산업에 종사해야 한다는 사농합일(士農合-)을 주장했고 아울러 과거제도의 재검토를 제시했다. 중국의 정전법(井田法)을 이상(理想)으로 한 한전법(限田法)의 시행을 주장했다. 또한 서학(西學)에 대해서도 각별한 관심을 두어 유학자의 입장에서 이를 비교적 편견 없이 소화, 소개했다. 지리학, 의학 등에 있어서도 서양의 새로운 지식을 수입 이를 연구 보급시켜 그 폭넓은 학문은 안정복(安鼎福), 이중환(李重煥) 등에게 계승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著書] 星湖健說, 星湖文集 等 [文獻] 順庵集, 韓國儒學史 等 (출처 : 전통문화포털)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