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이규보(李奎報) 1168-1241 고려의 문신, 문인

    • 제작연도 연도미상
    • 표준영정 지정연도 1989년
    • 영정크기 175 x 110cm
    • 제작작가 석영 최광수 (1932-1990)
    • 제작방법 ·
    • 소장지 및 소장인 강화 여주이씨문순공파대종회
    인물소개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 본관은 황려(黃驪 :驪興). 1189년(명종19) 사마시(司馬試), 이듬해 문과(文科)에 급제, 1202년 병마녹사검수제(兵馬錄事兼修製)를 거쳐 권보직한림(權補直輪林)으로 발탁되었다. 1219년(고종 6)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지방관의 죄를 묵인한 것으로 계양도호부부사(桂陽都護府副使)에 좌천당했다. 1220년 예부 낭중, 기거주, 지제고(禮部郎中起居注知制誥)에 승진, 국자좨주(國子祭酒), 한림시강학사(輸林侍講學士)를 거쳐, 1230년 판위위시사(判衛尉寺事)가 되었으나 팔관회(八關會)의 행사에 잘못을 저질러 한때 위도에 유배 되었으며, 1232년 판비서성사, 보문각학사, 경성부 우첨사, 지제고(判秘書省事寶文閣學士慶成府右詹事知制誥)에 올랐다. 이듬해 지문하성사, 호부상서, 집현전 대학사, 판예부사(知門下省事戶部尙書集賢殿大學士判禮部事)가 되고, 1237년 금자광록대부, 수대보, 문하시량평장사, 수문전대학사, 감수국사, 판예부사 한림원사, 태자대보(金紫光錄大夫守大保門下侍郎平章事修文殿大學士監修國史判禮部事翰林院事太子大保)로 치사(致仕)했다. 걸출한 시호(詩豪)로서 호탕 활달한 시풍(詩風)으로 당대를 풍미했으며, 특히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그 감상을 읊은 즉흥시(卽興詩)로 유명하다. 처음에는 도연명(陶淵明)의 영향을 받았으나 개성을 살려 독자적인 시격(詩格)을 이룩하였으며, 몽고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써 격퇴한 명문장가였다. 거문고를 즐겼으며 만년에 불교에 귀의하였다. 시호는 문출(文順). [著書] 東國李相國集 等 [文獻] 高麗史, 高麗史節要, 張德順:李奎報 (출처 : 전통문화포털)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