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img04899

    의상(625-702) 신라시대의 고승(高僧)

    • 제작연도 연도미상
    • 표준영정 지정연도 1991년
    • 영정크기 114 x 87cm
    • 제작작가 일초 손연칠 (1948-)
    • 제작방법 ·
    • 소장지 및 소장인 국립현대미술관
    인물소개
    화엄종(華嚴宗)의 시조. 644년(선덕여왕 13) 황복사(皇福寺)에서 중이 되었다. 661년(문무왕 1) 원효와 같이 입당구법의 길을 떠났다. 당주까지 갔다가 원효는 느낀 바가 있어 가지 않고, 혼자 서사불퇴(誓死不退)의 결심을 갖고 해로(海路)로 당나라에 가서 지엄(至嚴)의 문하에서 화엄종(華嚴宗)을 연구하고, 당이 신라를 치려하자 이를 알리고자 671년 귀국하였다. 676년(문무왕 16) 왕명에 따라 부석사(浮石寺)를 짓고 화엄종을 강론하였다. 해인(海印)이란 화엄종의 근본이 되는 삼매(三味)로서 세출세간 일체만법(世出世間一切萬法)이 해인삼매에 인현 되는 것은 마치 천지만물이 바다의 수면위에 나타나는 것과 같다하여 해인삼매라 이름 붙였다. 화엄경의 불사의(不思議) 경계는 해인삼매에서 출현되므로 해인삼매를 화엄경의 근본으로 한다. 이런 심오한 의미를 화엄종의 종지(宗指) 대표로 한 것을 해인도 혹은 법성도(法性圖)라 하여 현재까지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해동화엄종(海東華嚴宗)의 창시자가 되었다. 영주 부석사를 근본 도량으로 하여 화엄법문을 설파하였고, 그의 수하에 3천 제자가 배출되었으며, 그중 표훈(表訓), 지통(知通) 등을 10대 제자라 하고, 가야산 해인사, 금정산 범어사, 지리산 화엄사 등을 10대 화엄사찰이라 한다. 고려 숙종으로부터 해동화엄시조 원교국사(海東華嚴始祖圓敎國師)라는 시호를 받았다. [著書] 華嚴-勝法界圖, 十門看法觀 等 [文獻] 三國史記, 三國遣事, 宋高憎傳 等 (출처 : 전통문화포털)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