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대조영(?-719) 발해의 건국자

    • 제작연도 연도미상
    • 표준영정 지정연도 2012년
    • 영정크기 189 x 107cm
    • 제작작가 권희연 (1964-)
    • 제작방법 ·
    • 소장지 및 소장인 서울대학교박물관
    인물소개
    발해의 건국자(698~719년 재위)로서, 시호는 고왕(高王)이다. 아버지인 걸걸중상 외에 가계는 분명히 알려져 있지 않다. <구당서(舊唐書)> 발해말갈전에서는 “대조영은 고구려의 별종”이라 했고, <신당서(新唐書)> 발해전에서는 “본래 속말말갈 출신으로 고구려에 붙은 자”라고 되어 있어 고구려에 복속된 속말말갈족의 혈통을 가진 고구려 장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668년 고구려가 멸망된 뒤 아버지 걸걸중상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가 요서 지방의 영주(營州, 지금의 朝陽)에 정착하였다. 당시 영주는 북방의 여러 종족들을 통제하던 군사도시였으므로, 고구려 유민을 비롯한 말갈족, 거란족 등 여러 종족들이 뒤섞여 살았다. 그런데 696년 5월 경, 거란족인 이진충이 현지 책임자를 죽이고 봉기하자 고구려 유민들은 이를 국권 회복의 기회로 보고 대조영의 지휘 아래 요하를 건너 동쪽으로 이동하였다. 중국 기록에도 그는 날쌔고 용감하여 군대를 잘 부렸다고 한다. 그는 계속 뒤따라오던 당나라 군대를 역습한 다음 698년 백두산 북쪽의 동모산에 성을 쌓고 발해를 세웠다. (출처 : 전통문화포털)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