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김천일(1537-1593) 조선시대의 의병장

    • 제작연도 연도미상
    • 표준영정 지정연도 1992년
    • 영정크기 169 x 113cm
    • 제작작가 아천 김영철
    • 제작방법 ·
    • 소장지 및 소장인 나주 정열사
    인물소개
    삼장사(三壯士)의 한 사람. 자 사중(士重), 호 건재(健齋), 시호 문열(文烈). 본관 언양(彦陽). 1573년(선조 6)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가 되고, 1578년 임실현감(任實縣監)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나주(羅州)에 있다가 고경명(高敬命), 박광옥(朴光玉), 최경회(崔慶會)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수백 명을 이끌고 선조가 피난가있는 평안도를 향해 가다가 왜적과 싸우면서 수원성(水原城)을 거쳐 강화도로 들어갔다. 조정에서는 그에게 판결사(判決事)의 벼슬과 창의사(倡義使)의 호를 내렸다. 그는 왜적에게 점령된 서울에 결사대를 잠입시켜 싸웠고, 한강변의 여러 적진을 급습하는 등 크게 활약하였다. 다음해 정월 명나라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의 군대가 개성(開城)을 향해 남진(南進)할 때, 이들을 도와 도로(道路), 지세(地勢) 및 적정(敵情) 등을 알려주어 작전을 도왔다. 또 왜군이 남쪽으로 퇴각해 오자 조정의 명령에 따라 절도사 최경회 등과 함께 진주성을 사수(死守)하였다. 그 뒤 진주성(晋州城)을 지킬 때 왜적의 대부대가 성벽을 넘어 들어와 백병전이 벌어졌는데, 화살이 떨어지고 창검이 부러져 대나무 창으로 응전했으나, 마침내 성이 함락 당하자 아들 상건(象乾)과 남강(南江)에 투신 자결하였다. 좌찬성(左贊成)에 추증(追贈)되고 진주의 창열사(彰烈祠) 등에 배향(配享)되었다.[著書] 松川集, 健齋遺集 等 [文獻] 宣祖實錄, 海東名臣錄 等 (출처 : 전통문화포털)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