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소호 김응원 유지초본 1855-1921

    • 제작연도 연도미상
    • 영정크기 52 x 39.5cm
    • 제작작가 이당 김은호 (1892-1979)
    • 제작방법 유지에 채색
    • 소장지 및 소장인 세종대학교 박물관
    인물소개
    조선후기 「석란도」를 그린 서화가.
    호는 소호(小湖). 출신배경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다만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하인이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1911년에 근대적 미술학원으로 서화미술회(書畫美術會) 강습소가 개설될 때에 조석진(趙錫晉)·안중식(安中植)과 함께 지도교사진에 들어 묵란법(墨蘭法)을 가르쳤다. 1918년 민족사회의 전통적 서화가들과 신미술 개척자들이 서화협회를 창립할 때에도 조석진·안중식 등과 함께 13인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글씨는 행서와 예서를 잘 썼고 그림은 묵란이 전문이었다. 그 묵란들은 대원군의 필법을 충실히 따르면서도 독자적인 경지를 이루었다. 대표적인 작품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인 웅장하고 환상적인 구도의 대작 「석란도(石蘭圖)」 등이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