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lose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search
Menu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 search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 소개
    • 창립 이념
    • 이사장 인사말
    • 비전 및 목표
    • 연혁
    • 조직도
    •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 오시는 길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
    • 한국전통인물화가
  • 역사인물화 갤러리
  • 재단 사업
    • 역사인물화 발굴/전시/홍보 사업
    • 전통인물화 진흥/계승 사업
    • 전통인물화가 양성 사업
    • 학술연구 및 출판 사업
    • 우리미술 아카데미 사업
  • 후원하기
  • 재단 소식
    • 공지사항
    • 언론 보도
    • 문의처

    우륵(490년경 추정) 신라의 악사

    • 제작연도 1975년
    • 표준영정 지정연도 1977년
    • 영정크기 113x81cm
    • 제작작가 일랑 이종상(1938~ )
    • 제작방법 비단에 채색
    • 소장지 및 소장인 국립현대미술관
    인물소개
    박연, 왕산악과 함께 우리나라의 3대 악성으로 추앙받고 있다. 본래 대가야국(大伽倻國)의 성열현(省熱懸)사람으로 가실왕의 총애를 받았다. 가실왕의 뜻을 받들어 12현금(弦琴 : 伽倻琴)을 만들고, 이 악기의 연주곡으로 지명(地名)에서 얻은 악상(樂想)으로 12곡을 지었다. 551년(진흥왕 12) 신라에 투항(投降), 제자 이문과 함께 낭성(娘城)에 살다가 진흥왕에게 명성이 알려져 하림궁(河臨宮)에서 이문과 함께 새 곡을 지어 연주했다. 이에 감동한 진흥왕의 배려(配慮)로 국원(國原 ; 忠州)에서 살게 되고, 552년 대내마(大奈麻) 계고(階古)와 법지(法知), 그리고 대사(大舍) 만덕(萬德) 등 세 사람을 그 소질에 따라 계고에게는 가야금을, 법지에게는 노래를, 만덕에게는 춤을 가르쳤다. 그 후 진흥왕에 의하여 가야금곡이 궁중 음악이 되었고, 하림조(河臨調), 눈죽조(嫩竹調)의 2조(調)가 생겨 모두 185곡의 가야금 곡이 남게 되었다.
    가야금처럼 우리의 심정을 속속들이 대변해주고, 포괄적으로 한국의 아름다운 예술미를 적나라하게 드러내 주는 것은 없다. 그만큼 가야금속에 우리의 정서, 우리의 속멋, 우리의 심미안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가야금은 일 년 열두 달을 상징하여 12줄을 얹었고, 오동나무 공명통의 윗부분이 둥근 것은 하늘을 본뜻 것이요, 밑이 평평한 것은 땅을 나타냈다고 한다. 동양 지향적인 세계 음악계의 조류 속에 각광받을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기에, 가야금은 국제적 악기로 등장할 잠재력이 농후한 악기임에 틀림없다. 충주(忠州)의 대문산(大門山) 기슭의 금휴포(琴休浦)와 그 위의 탄금대(彈琴臺)는 그가 가야금을 타던 곳이라 한다.
    [文獻] 三國史記, 三國遺事, 李惠求 : 于勒 等 (출처 : 전통문화포털)
    관련 단체 및 기관
    .
    Share Share Share Pin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재단법인 역사인물화문화재단
    • 대표자 : 이유주
    • 주소 : (03047)서울특별시 종로구 지하문로 108, 4층(청운동, 백악회관)
    • 고유번호 : 637-82-00676

    Copyright © 2025 (재)역사인물화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